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

회사에서 실무자들은 실제로 어떤 데이터를 볼까? 우리가 데이터 분석을 처음 공부할 때 흔히 접하는 데이터는 타이타닉 아니면 오라클의 Dept 데이터다. 과연 실제로 실무자들은 회사에서 어떤 데이터를 볼까? 우선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데이터는 크게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로 나뉜다. 정형 데이터는 말 그대로 정형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고객이나 상품 정보 관리 시스템(기간계라고도 한다)에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되어 있는 데이터와 같이 특정한 목적으로 2차원 테이블 형태로 만들어 놓은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라고 부른다. 이 데이터는 목적에 맞게 모델링 되어 있어서 SQL을 통해서 원활하게 다룰 수 있으며 시스템 운영 목적으로 주로 활용한다. 다음은 비정형 데이터인데 일반적으로 시스템 장비에 적재되는 LOG 데이터를 의.. 2022. 10. 1.
데이터 분석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가 알아야 할 4가지 팁 데이터 분석을 처음 시작하면 무엇을 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새로운 무언가를 배우면 툴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 SQL 또는 Pandas 사용법을 익히고 열심히 이것저것 실습을 해본다. 하지만 그 후엔 무엇을 해야 하지? 사실 툴을 어느 정도 익혔다고 하더라도 막상 쓰려고 하면 무엇부터 해야 할지 몰라서 헤매게 된다. 책도 보고 강의도 들어가며 힘들게 익혔는데 막상 무언가를 하려고 하면 뭐부터 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혼자 응용하기도 쉽지 않다. 우선 내가 잘 아는 분야부터 시작한다. 데이터 분석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3요소가 있다. 첫 번째, 데이터 해석할 때 활용하는 통계 및 수리 능력이고 두 번째, 데이터 핸들링 가능한 SQL이나 Python 등 툴을 다루는 Skill이며 마지막으로, 해당 분야를 이해하.. 2022. 10. 1.
SQL 공부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무엇을 해야할까 SQL 처음 공부하기로 마음먹은 분들은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할 것이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SQL 배우는 분들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요즘은 유튜브나 교육 플랫폼에 강의도 넘쳐나고 SQL 책도 많아져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책으로 공부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서점에 가서 관련 도서를 쭉 훑어본 후에 나에게 가장 맞는 책을 골라서 보면 되고, 강의를 통해 익히는 걸 선호하는 사람은 유튜브나 교육 플랫폼 가서 샘플 강의 영상을 보고 나에게 맞는 강사를 찾아서 들어보는 방법을 쓰면 된다. 하지만 여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책으로 공부하는 경우에 처음 접하는 용어도 많고 개념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태라서 한번 읽어서 다 이해하기는 쉽지 않고 하나씩 보면서 따라 하며 익히면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 2022. 9. 30.
우리가 SQL을 배워야 하는 이유 우리가 직장에서 변화하고 싶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물론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SQL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람마다 관심사는 다르고 자신의 커리어를 성장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회계를 배워서 회사 재무제표를 이해하고 전사 경영기획 관점에서 보는 이해도를 높일 수도 있고, 요즘 핫한 파이썬을 배워서 RPA로 활용하거나 엑셀 대용으로 쓸 수도 있다. 아니면 지금 하고 있는 분야에 더욱 매진해서 외길만 팔 수도 있다. 그런데 왜 SQL을 추천할까? 첫 번째, 우선 접근하기가 쉽다. 뭐? SQL이 쉽다고? 물론 쉬운 건 아니다. 개인적으로 SQL 입문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여기서 말하는 쉽다는 의미는 제대로 된 방법으로 익히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우리가 DBA나 튜너 또는 쿼리 개발.. 2022. 9. 28.
좀 더 나은 직장인이 되려면 무엇을 배워야 할까 누구나 그렇겠지만 젊었을 때는 월급 받기 위해 회사를 다녔다. 하루하루 그날의 일을 처리하며 살다 보니 무엇을 새롭게 배워야겠다고 생각하지도 못했고 그냥 열심히만 살아왔다. 한해 두 해가 지나고 일이 익숙해지면서 지금 하는 일이 지루해졌고 다른 일을 해보고 싶어졌다. 하고 싶은걸 하면서 돈도 번다는 게 말이 안 되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이런 생각이 들었을 때 나의 현실은 결혼도 했고 자식도 있어서 직장을 마음대로 바꾸기도 어려웠고 특별한 기술 없이 회사 내에서 조직을 옮기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다 회사에서 갑자기 신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는데 어찌어찌하다 사업 담당자로 끌려갔고 신사업에 대한 지식도 하나도 없었지만 일에 밀려서 그 일을 하게 되었다. 난세에 영웅이 나고, 주변이 혼란해지면 누군가에.. 2022. 9. 27.
[서평]초서 독서법 안녕하세요. 시그널입니다. 오늘부터 그간 읽었던 책들 서평을 올려 보려고 합니다. 여기에 기록하는 사항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며, 책을 보면서 느꼈던 부분과 개인적으로 경험한 것들을 글로 정리해서 남기기 위함이며 다른 의도는 없습니다. [초서 독서법] "나는 언제부터 책 읽기 좋아했을까?" 군 시절에 통신병과로 근무하면서 여러 부대로 파견을 다녔다. 훈련 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군단 내 여러 사단과 예하 부대 통신 목적으로 부대원의 반 정도는 정기적으로 파견을 다녔고 나도 그중 하나였다. 내가 처음 파견 간 곳은 산 정상에 있는 통신 시설이었는데 근처에 KBS도 있었고, 공군과 여러 통신 시설들이 있었다. 난생처음 보는 눈앞에 있는 커다란 안테나와 다양한 통신 장비를 보면서 신기해했던 기억이 어렴풋.. 2022. 9. 1.
[서평]평생 필요한 데이터 분석 안녕하세요. 시그널 입니다. [평생 필요한 데이터 분석] 서평 이벤트에 당첨 되었습니다. 유일환 저자분은 전작 [SQL BOOSTER] 책에서 먼저 만나 뵈었으며, 금번에 [평생 필요한 데이터분석 - 확장판] 서평단을 모집해서 바로 신청하였고, 고맙게도 이렇게 서평까지 쓰게 되었습니다. [평생 필요한 데이터 분석] 서평 바로 시작합니다. "나는 어떻게 데이터 분석 업무를 하게 되었을까?" 몇 년 전에 회사에서 신규 사업을 하게 되면서 해당 사업부로 발령이 났고, 사업 담당자를 맡으면서 신규 서비스 업무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초반에는 회사 내 모든 업무를 소화하기 어려워서 주요 Value Chain을 외주로 주게 되었는데 사업이 커지고 어느 정도 안정화되면서 내재화를 하기 시작했고, 그.. 2022. 8. 14.